www.youtube.com/watch?v=cbyuQMAmDj8&list=PLiUK-2FQCKDuWPZhGLKQ0D7othPZ93geM&index=12
매수시에는 매수포지션
숏칠때는 숏포지션
도구를 활용해서 손익비를 계산할 수 있다.
위험보상률이라고 표시되는 부분이 손익비를 나타낸다.
손익비가 1:1 이라면 애매한 진입하기 애매한 위치인 것이다.
상방으로 넓게 열려있고 하방으로 좁은 자리가 좋은 진입 자리이다. 이와 반대이면 흑우 매수지점인 것이다.
초보라면 이 도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한다. 리플이 현재 이러한 모양으로 상승했다. 이걸 가져와서 더 상승할 수 있을까요? 라고 물어보기 전에 먼저 이 도구를 사용해서 계산을 해봐야 한다.
고점이 갱신되어가는 기울기가 점점 줄어들고 있으므로 그 기울기에 맞추어 예측 목표가를 정해볼 수 있다.
다이버전스가 있는 경우에도 추가상승이 가능하지만 떨어질 확률이 높다.
상승파동이 다 끝나고 조정이 온다면 최소 조정폭은 23.6~38.2%(피보나치)이다.
현재 진입가의 38.2까지 빠질 수 있으므로 이를 도구를 활용해서 그려보면
이렇게 손익비가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인다. 이런 매매는 진입자체를 하면 안된다.
이득이 잘 안나고 잘 물리는 경우 꼭 이 도구를 사용해 볼 것을 추천한다.
들어가서 깔끔하게 먹고 나오기보다 애매하게 물려서 왔다갔다하며 언제 팔아야 하지 하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면 꼭 사용해볼 것을 추천한다.
'투자차트퀀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과매수, 과매도 그리고 RSI (0) | 2021.05.12 |
---|---|
증권사 프로트레이더들은 어떻게 매매하는가? (0) | 2021.05.12 |
1년만에 차트를 공부한 비법 (0) | 2021.05.12 |
누적수익을 쌓는 핵심 3가지 (0) | 2021.05.12 |
2018 비트코인 하락장 차트분석 (0) | 2021.05.12 |